1.생두의 분류
생두는 국가별로 정해진 기준에 따라 분류되곤 하는데 먼저 국가별
기준으로는 크게 결점두(Defect Bean)에 의한 분류 ,생산(재배)고도에 의한 분류,스크린 싸이즈(크기)에 의한 분류로 나뉜다.
결점두는 재배와 수확 가공까지의
모든 과정에서 발생가능한 각종
원인으로 인하여 손상된 생두를
일컫는다.
결점두에 의한 분류를 사용하는
대표적인 나라는 브라질,인도네시아,에티오피아 로서 샘플 300그램의 생두에 섞여있는 결점두의 수를 가지고
점수로 환산하여 분류한다.
등급의 명칭은 브라질은 No.2-8
, 인도네시아Grade 1-6 등이다.
생두가 생산된 지역의 고도에 의한
분류로서 이를 사용하는 대표적인
나라는 과테말라,코스타리카,멕시코,온두라스,엘살바도르 등이다.
등급 명칭으로는 과테말라,코스타리카 최상급이
SHB(Strictly hard bean) 이며,
멕시코,온두라스,엘살바도르는
최상급을 SHG(Strictly high grown)로 표기한다.
스크린 싸이즈(생두의 크기)에
따른 분류를 사용하는 대표적인 나라로는 콜롬비아,케냐, 탄자니아
가 있는데,등급 명칭의 경우 콜롬비아는 수프리모(Supremo)
로 나타내며,케냐와 탄자니아는
AA 로 표기한다.
---디펙트에 따른 상세 분류
***스페셜티 그레이드 등급
(Specialty grade)
프라이머리 디펙트(Primary defect)와,퀘이커는 한개도 허용되짗않으며 풀 디펙트(full defect)가 5개 이내, 커핑점수 80점 이상이어야 한다.
***프리미엄 그레이드 등급
(Premium grade)
프라이머리 디펙트(Primary defect)가 허용되며 풀 디펙트
(full defect)가 8개 이내
퀘이커(Quaker)는 100그램당
3개 까지 허용된다.
제대로 발육되지 않거나 안익은
체리로 수확되어 로스팅시 색이
다르게 나타나는 원두
생두를 수확한 시점부터 경과기간을 기준으로 나누면 아래와 같이 분류된다.
휴~~~^^
감사합니다!
다음에 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