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혼자 자는 싱글, 같이 자는 커플... 누가 더 숙면할까?★

카테고리 없음

by I feel pretty 2023. 3. 26. 00:13

본문

반응형

성인 파트너와 함께 잠을 자는 커플이 혼자 자는 싱글보다 수면의 질이나 만족도가 훨씬 높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미국 건강의학 웹진 ‘헬스데이’ 보도에 따르면 미국 애리조나대 연구진은 펜실베이니아주의 성인 직장인 1007명을 대상으로 수면의 질과 민족도를 조사했다.

그 결과 성인 파트너와 잔 사람들이 혼자 자는 사람들보다 더 빨리 잠에 들고 오래 잤다. 수면 무호흡증에 걸릴 위험도 적었다. 우울증, 불안감, 스트레스 지수도 낮았다.

커플은 혼자 자는 사람들보다 더 빨리 잠들고 더 오래 잠을 자고 수면무호흡증에 걸릴 위험이 적었다. 또 우울증과 불안감, 스트레스 수준도 모두 낮았다.

수면의 질이 가장 안 좋은 경우는 아이와 같은 침대에서 자는 성인이었다. 이들은 수면 무호흡증에 걸릴 확률이 더 높았고, 불면증이 심했으며 수면에 대한 통제력도 떨어졌다. 혼자 자는 사람은 우울증 지수가 높았고, 삶의 만족도도 낮았다.

성인 커플의 수면 만족도가 더 높은 이유는 무엇일까. 연구 책임자인 마이클 그랜드 너 애리조나대 교수는 안전이나 사회화가 원인일 수 있다고 추론했다. 역사에서 인류는 불 주변에서 무리 지어 잠을 잤는데, 옆에서 다른 사람이 자고 있는 것만으로도 안정감과 편안함을 느낄 수 있다는 설명이다.


수면의 질이 가장 안 좋은 경우는 아이와 같은 침대에서 자는 성인이었다. 이들은 수면 무호흡증에 걸릴 확률이 더 높았고 불면증이 심했다. 수면에 대한 통제력도 떨어졌다.
혼자 자는 사람은 우울증 지수가 높았고 삶의 만족도도 낮았다.

이 결과는 실험실 관찰 결과와 배치됐다. 커플과 함께 잠을 자는 사람은 얕은 잠을 더 많이 잤고, 파트너의 움직임이 뇌에 각성을 일으키는 경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 책임자인 마이클 그랜드 너 애리조나대 교수는 “함께 자는 커플에게 질문하면 대부분 수면 만족도가 높았다”며 “코를 골거나 뒤척임이 많은 사람 옆에서 자더라도 불편함보다는 전체적 효용성이 더 크다고 봐야 한다”라고 말했다.

라파엘 펠라요 미국 스탠퍼드대 교수는 이번 연구 결과가 자신의 관찰 결과와 일치한다고 밝혔다. 그도 인류가 무리 지어 잠을 잔 역사를 언급했다.

라파엘 펠라요 미국 스탠퍼드대 교수는 과거 인류가 무리 지어 잠을 잔 역사를 언급하면서 “잠은 학습된 행동”이라며 “함께 잠을 자는 것은 경계를 늦추고 몇 시간을 함께 보내는 것이기에 친밀한 경험”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커플 간에는 깨어 있을 때만 아니라 수면에서도 잘 어울리는 것이 중요하다”면서 “시간이 흐르면서 신뢰가 쌓이면 여러분은 더 잘 잘 수 있다. 일반적으로는 파트너가 없을 때 사람들은 잠을 잘 자지 못 한다”라고 덧붙였다.

이 연구는 최근 미국 노스캐롤라이나주 샬럿에서 열린 ‘전문수면학회(APSS)’ 학술대회와 지난달 영국 수면연구학회(SRS) 학술지 ‘수면’(Sleep)에 발표됐다.
또 펠라요 교수는 사람들이 90분 간격으로 잠에서 깨는 경향이 있다며, 실제로 밤새도록 자는 사람은 없다고 했다.

해당 연구는 최근 미국 노스캐롤라이나주 샬럿에서 열린 ‘전문수면학회(APSS)’ 학술대회에서 발표됐다.


배우자와 각방을 쓰시나요? 위의 연구결과를 토대로 지금부터라도 상의 하시고~~함께숙면을!!


잠은 하루의 끝과 시작의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는 시간이니 우리 다
숙면하고 잘 깰 수 있게 나의 잠을 체크해 보아요~~^^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