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스팅도 중요하지만 로스팅 기와
로스터의 안전도 중요합니다.
살짝 안전관리 알아보실게요!
. 생두 보관구역: 운반, 커피백의 추락, 먼지
. 로스팅 구역:화상(특히 생두를 로스터기에 투입할 때), 생두 운반
. 포장, 생산 구역: 열 밀폐장치 화상, 상자 운반
. 출하 구역:운반, 지게차
. 생두 보관구역: 곰팡이, 수분함량, 해충
. 로스팅 구역:로스팅된 커피 속 이물질
. 포장, 생산 구역:라벨표시 불량, 밀폐 불량
. 출하 구역:운반 중 오염
상세 안내
. 열사 고와 장비 고장에 대비해 표준
양식을 마련함
. 표준 운용절차는 경험이 쌓일 때마다 표준 운용 절차를 정정함
. 제조사와 함께 장비를 검토함
. 비상 연락처는 로스팅 구역에서 근무하는 사람 모두가 볼 수 있게 해야 함
. 로스터 드럼 안에서 불이 났을 경우
커피를 드럼에 둔 채 그 안에서 불을 꺼야 함
. 매일 로스팅이 끝나면 가스를 끄고
로스터기를 냉각해야 함
. 로스터기 매뉴얼에서 로스터를 꺼야 하는 온도를 확인. 후에 로스터기의 전원을 차단함
(보통 드럼 온도가 50도까지 내려간 후에 전원 차단)
. 댐퍼를 닫고 체프받이를 비워야 함
(로스팅하기 전 채프 받이가 깨끗해야 함)
. 로스터기 매뉴얼에서 권장하는 청소 및 정비방법
(잔여물 축척 최대 두께를 확인함, 체인 또는 벨트 장력을 확인함)
. 안전장비 시험은 매년
확인해야 함
. 명확한 평가 절차에 따라 일일, 주간, 월간, 운영 체크리스트를
운용하는 제조업체의 장비 예방
정비공정(PEM)을 따름
6. 화재 등급
7. 주기적인 관리
8. 매일 관리
좋은 내용이라 조금 퍼왔어요!ㅎㅎ
우리 모두 비싼 로스터기 관리 잘하며 애지중지 해봐요~~^^